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은 건축표현 과잉보다
공간 기능 수행에 초점을 맞춥니다.


아직은 단단하게 형성된 언어가 없어 타인의 것을 차용하자면
다음의 두가지 생각을 단초로 건축을 바라보고 싶습니다.


첫째,
Building – Dwelling – Thinking (by Martin Heidegger)
순차적이지만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행위라 시간의 순서를 나누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다음의 분류 정도를 한다면, 

  Building : 물리적 유해로부터 벗어나고 보호받기 위해 본능적으로 동굴을 
                  찾거나 짓는 행위
  Dwelling : 지어진 건축에 거주
  Thinking : 건축에 거주하며 밖을 보고 채광, 환기를 하고 싶다는 욕망에 
                   벽을 뚫기 위한 방법론을 생각

 태초의 짓는 행위는 사고의 결과가 아닌 본능입니다.
 그리고 본능에는 짓고자 하는 사람의 희망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둘째,
공간화 – 건축화 – 사회화 (by Fumihiko Maki)
건물을 짓는데는 건축가가 관여가 당연하게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관여를 하기 앞서 건축주는 이미 희망을 담은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공간화’라고 일컫고, 흔히 설계를 
의뢰하거나 지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건축화’란 건축설계의 창조적 행위로 구조, 설비, 내외장, 공법
등을 구체화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이때 건축가는 희망이 담긴 공간을 물리적 재료와 공간을
 조작하기 위해 구상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건축가는 건물을 짓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건물은 시공자가 짓고, 시공사 외에도 건물을 완성하는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개입합니다. 그래서 제작 환경에 대한 관심도 
필요합니다. 
​건축주의 공간화, 그리고 건축가의 건축화된 관념이 물리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협업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끝으로 ‘사회화’는 건물이 의도된 목적을 잘 충족해 본래의 목적을
지속하는 과정입니다. ‘사회화’의 주인공은 사용자들입니다.
사회화에서 건축가의 개입은 극히 미미하고 건물의 생명력은 
사회화로부터 얻어집니다.

                                                             

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은 형이상학적으로 보이는 희망을 
만질 수 있는 물리적 공간으로 구축하는데 목적을 합니다.
그래서 산업으로서 이해를 하고자 노력합니다. 
건설사에서 다년간의 경험이 이를 가능케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산업과정에서 건축화 과정이 영원이 아닌 건물이 사회 만나 
생장하는 과정 중 찰나임을 인지하고자 합니다.
시기는 짧지만 사람이 세상에 나오기 위해 임신 과정이 있듯  
건물이 사회화가 되기 전 건축화 역시 중요합니다.
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이 건축표현보다는 공간 기능 수행에 
많은 고민을 하는 이유는 본질이 희망 수행에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결국 저희가 만들어낸 결과물은 
고정된 무기체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사회 속 시간을 보내며
유기체와 같이 적절히 반응하기 위해 그를 둘러싼 적응성과 
환경에 집중합니다.

이는 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의 욕심이기도 합니다. 
근본을 추적하고 지나온 시간을 탐구하는 것을 바탕으로 건립될  
새로운 시설에 대한 근본적 가능성을 탐구하고 싶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건물이 사회화가 되기 전 희망 수행을 위한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공간화가 되었다면 중요한 지금 이 순간,
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과 함께 하길 희망합니다.

 
대표이사(건축사)     박 지 환

건축사사무소 부피상점 유한회사
서대문구 건축위원회 심의위원
용산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국방부 특별건설기술심의 위원회 심의위원
서울시 휴먼타운 2.0 휴머네이터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분야 설계VE자문위원
서울시 공동주택 품질점검 위원
인천광역시 스마트도시 사업협의회 위원
광명시 경계결정위원회 위원
 한국부동산원 건축물 안전영향평가 외부자문위원
공무원연금공단 공공건축심의위원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공간계획설계정책학과 졸업
(전)목원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전)SH매입주택 품질점검위원
(전) 인천 미추홀구 공공건축심의위원
(전) 인천시 행복마을 가꿈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전) 한국산업단지공단 부동산 개발 자문, 평가위원
주식회사 대우건설
- 판교 퍼스트힐 푸르지오 현장 (시공)
- 과천 푸르지오 써밋 현장 (시공)
- 주택건축설계팀
- 주택기술팀
- 인도 TCE 사무소
- 플랜트건축설계팀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졸업